서브메뉴
검색
한국 현대 무대의 해외 연극 수용 = The receptions of foreign theaters on modern Korean stages
한국 현대 무대의 해외 연극 수용 = The receptions of foreign theaters on modern Korean stages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30810690 93680 : \33000
- DDC
- 792.09519-21
- 청구기호
- 792.095A 한1716ㅎ
- 단체저자
- 한국연극평론가협회 편
- 서명/저자
- 한국 현대 무대의 해외 연극 수용 = The receptions of foreign theaters on modern Korean stages / 한국연극평론가협회 편
- 발행사항
- 파주 : 푸른사상, 2016
- 형태사항
- 447 p : 삽화 ; 22 cm
- 총서명
- 연극이론 총서 ; 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419-432)과 색인수록
- 내용주기
- 한국 무대에서의 셰익스피어 (이미원) -- 프랑스 고전극의 수용 (송민숙) -- 한국 연극과 안톤 체호프 (이진아) -- 한국 무대에 수용된 베케트와 이오네스코의 부조리극 (신현숙) -- [보이체크] 한국 공연의 주요 궤적과 의미 (허순자) -- 한국 여성연극의 프랑스 현대 작품 수용 연구 (김명화) -- 독일 문학 및 희곡에서 찾아낸 한국 연극의 화두 (이경미) -- 한국 현대 무대의 중국 연극 (오수경) -- 인여페이스(In-Yer-Face) 연극의 소개와 수용 (김미희) -- 수행적 미학에 근거한 동시대 해외 공연들 (심재민) -- 매체연극과 로베르 르빠주의 연극 세계 (이선형) --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일상의 흔적과 연극의 정치적 위치 및 지형의 생산 (임형진) -- 동시대 한국 무대의 일본 연극 (이성곤 ) -- 한국 판소리 무대의 해외작 수용을 통한 새로운 양상 (김 향)
- 초록/해제
- 요약: 한국 무대 위에서 해외 연극은 어떻게 충돌하고 어떻게 변화하는가연극평론가들이 오늘날 한국에 수용된 다양한 해외 연극의 양상을 한 권의 책으로 정리한 『한국 현대 무대의 해외 연극 수용』이 푸른사상 [연극이론 총서 6]으로 발간되었다. 드라마센터의 무대에 오른 셰익스피어 연극에서부터 우리 고유의 판소리로 재탄생한 브레히트 연극까지, 한국 무대와 해외 연극이 어떻게 어우러지며 새로운 연극미학을 창출해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 기타저자
- 이미원
- 기타저자
- 송민숙
- 기타저자
- 이진아
- 기타저자
- 신현숙
- 기타저자
- 허순자
- 기타저자
- 김명화
- 기타저자
- 이경미
- 기타저자
- 오수경
- 기타저자
- 김미희
- 기타저자
- 심재민
- 기타저자
- 이선형
- 기타저자
- 임형진
- 기타저자
- 이성곤
- 기타저자
- 김향
- 기타서명
- The receptions of foreign theaters on modern Korean stages
- 가격
- \29700
- Control Number
- sacl:109663
- 책소개
-
푸른사상 연극이론 총서 제6권은 연극평론가들이 쓴 해외 연극의 한국 수용을 주제로 한다.
역사적으로 우리의 근대극, 또는 현대극의 발전은 해외 연극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으므로 한국 현대극에서 해외 연극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우리 연극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때 단순하게 희곡이나 이론의 분석을 넘어선, 실제 공연에 대한 연구와 평가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근대화와 함께 수용된 셰익스피어나 몰리에르와 같은 서구의 고전극에서부터 인여페이스 연극, 매체연극 등 최근 연극계의 새로운 동향에 이르기까지 한국 무대를 끊임없이 자극하면서 새로운 공연 기법을 선보였던 해외 연극의 수용과 재창작의 과정을 탐색하고 있다. 그로써 그들은 한국 현대 연극사의 주요 부분을 기술하고 있다.
MARC
008171101s2016 ggka 001a kor■00520171031193801
■007ta
■020 ▼a9791130810690▼g93680▼c\33000
■040 ▼d211037
■082 ▼a792.09519▼221
■090 ▼a792.095A▼b한1716ㅎ
■110 ▼a한국연극평론가협회▼e편
■24510▼a한국 현대 무대의 해외 연극 수용▼xThe receptions of foreign theaters on modern Korean stages▼d한국연극평론가협회 편
■260 ▼a파주▼b푸른사상▼c2016
■300 ▼a447 p▼b삽화▼c22 cm
■44000▼a연극이론 총서▼v6
■504 ▼a참고문헌(p. 419-432)과 색인수록
■50502▼t한국 무대에서의 셰익스피어▼d(이미원) --▼t프랑스 고전극의 수용 ▼d(송민숙) --▼t한국 연극과 안톤 체호프 ▼d(이진아) --▼t한국 무대에 수용된 베케트와 이오네스코의 부조리극 ▼d(신현숙) --▼t[보이체크] 한국 공연의 주요 궤적과 의미 ▼d(허순자) --▼t한국 여성연극의 프랑스 현대 작품 수용 연구 ▼d(김명화) --▼t독일 문학 및 희곡에서 찾아낸 한국 연극의 화두 ▼d(이경미) --▼t한국 현대 무대의 중국 연극 ▼d(오수경) --▼t인여페이스(In-Yer-Face) 연극의 소개와 수용 ▼d(김미희) --▼t수행적 미학에 근거한 동시대 해외 공연들 ▼d(심재민) --▼t매체연극과 로베르 르빠주의 연극 세계 ▼d(이선형) --▼t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일상의 흔적과 연극의 정치적 위치 및 지형의 생산 ▼d(임형진) --▼t동시대 한국 무대의 일본 연극 ▼d(이성곤 ) --▼t한국 판소리 무대의 해외작 수용을 통한 새로운 양상 ▼d(김 향)
■520 ▼a한국 무대 위에서 해외 연극은 어떻게 충돌하고 어떻게 변화하는가연극평론가들이 오늘날 한국에 수용된 다양한 해외 연극의 양상을 한 권의 책으로 정리한 『한국 현대 무대의 해외 연극 수용』이 푸른사상 [연극이론 총서 6]으로 발간되었다. 드라마센터의 무대에 오른 셰익스피어 연극에서부터 우리 고유의 판소리로 재탄생한 브레히트 연극까지, 한국 무대와 해외 연극이 어떻게 어우러지며 새로운 연극미학을 창출해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653 ▼a한국연극▼a연극이론▼a해외연극▼a한국현대연극
■700 ▼a이미원
■700 ▼a송민숙
■700 ▼a이진아
■700 ▼a신현숙
■700 ▼a허순자
■700 ▼a김명화
■700 ▼a이경미
■700 ▼a오수경
■700 ▼a김미희
■700 ▼a심재민
■700 ▼a이선형
■700 ▼a임형진
■700 ▼a이성곤
■700 ▼a김향
■740 2▼aThe receptions of foreign theaters on modern Korean stages
■9500 ▼b\29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