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제18회(2017년)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제18회(2017년)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55427309 03810 : \14000
- DDC
- 895.735-21
- 청구기호
- 8A3.608 이96 2017
- 저자명
- 강영숙 지음
- 서명/저자
-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제18회(2017년) / 강영숙 [외]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생각정거장, 2017
- 형태사항
- 319 p ; 22 cm
- 서지주기
- "이효석 작가 연보" 수록
- 내용주기
- 어른의 맛 ; 라플린 강영숙 -- 조이 기준영 -- 오직 한 사람의 차지 김금희 -- 당신의 나라에서 박민정 -- 눈동자 노동자 손홍규 -- 언젠가 떠내려가는 집에서 조경란 --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표명희 -- 작은 사람들의 노래 조해진
- 초록/해제
- 요약: “자기 경험의 세계가 순금같이 구현된 소설” 메밀꽃 피는 봉평의 가을 목전에, 최고의 한국 중단편 소설을 가려 뽑는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17' 이 출간되었다. 이효석문학재단은 시적 서사를 소설로 풀어낸 이효석 소설가의 문학적 업적을 기림과 동시에 한국 문학에 길이 빛날 발자취를 남긴 단편소설을 매년 선정한다. 오정희 심사위원장을 비롯해 구효서, 정홍수, 신수정, 전성태 심사위원은 2017년 7월 12일 1차 심사(예심)에서 강영숙, 기준영, 김금희, 박민정, 손홍규, 조경란, 표명희의 소설을 본심 후보작으로 선정하였다. 심사위원회는 2017년 8월 11일 열린 2차 심사(본심)에서 강영숙의〈어른의 맛〉을 수상작으로 선정하였다. 강영숙의 〈어른의 맛〉은 사십 대 중년이 겪는 심리적 성장통이라 할 수 있다. 소설은 불안과 피로, 권태가 상존하는 비루한 현실을 감각적으로 그리고, 인물이 겪는 생의 누추를 추슬러낸다.
- 수상주기
- 이효석문학상, 2017
- 일반주제명
- 수상 작품집[受賞作品集]
- 키워드
- 한국 현대 소설[韓國現代小說]
- 기타저자
- 강영숙 [외]지음
- 기타저자
- 기준영 [외]지음
- 기타저자
- 김금희 [외]지음
- 기타저자
- 박민정 [외]지음
- 기타저자
- 손홍규 [외]지음
- 기타저자
- 조경란 [외]지음
- 기타저자
- 표명희 [외]지음
- 기타저자
- 조해진 [외]지음
- 기타서명
- 어른의 맛
- 기타서명
- 라플린
- 기타서명
- 조이
- 기타서명
- 오직 한 사람의 차지
- 기타서명
- 당신의 나라에서
- 기타서명
- 눈동자 노동자
- 기타서명
- 언젠가 떠내려가는 집에서
- 기타서명
-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 기타서명
- 작은 사람들의 노래
- 가격
- \12600
- Control Number
- sacl:109415
- 책소개
-
“자기 경험의 세계가 순금같이 구현된 소설”
메밀꽃 피는 봉평의 가을 목전에, 최고의 한국 중단편 소설을 가려 뽑는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17》이 출간되었다. 이효석문학재단은 시적 서사를 소설로 풀어낸 이효석 소설가의 문학적 업적을 기림과 동시에 한국 문학에 길이 빛날 발자취를 남긴 단편소설을 매년 선정한다. 오정희 심사위원장을 비롯해 구효서, 정홍수, 신수정, 전성태 심사위원은 2017년 7월 12일 1차 심사(예심)에서 강영숙, 기준영, 김금희, 박민정, 손홍규, 조경란, 표명희의 소설을 본심 후보작으로 선정하였다. 심사위원회는 2017년 8월 11일 열린 2차 심사(본심)에서 강영숙의〈어른의 맛〉을 수상작으로 선정하였다.
강영숙의 〈어른의 맛〉은 사십 대 중년이 겪는 심리적 성장통이라 할 수 있다. 소설은 불안과 피로, 권태가 상존하는 비루한 현실을 감각적으로 그리고, 인물이 겪는 생의 누추를 추슬러낸다. 심사위원회는 〈어른의 맛〉을 두고 ‘자기 경험의 세계가 순금같이 구현된 소설’이라 평했다. 강영숙 작가는 작은 디테일을 무심한 듯 분산해 배치하며 실감과 자연스러움이 살아 있는 이야기를 짓고 거기에서 삶의 비의를 밝히려 한다. 이 비관적인 세계를 어떻게 견뎌야 하는지, 작가는 하기 힘든 두툼한 이야기를 써냈다.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17》에는 대상 수상작 외에 2016년 대상 수상작가인 조해진 소설가의 자선작 [작은 사람들의 노래]와 본심에 올랐던 추천 우수작 6편을 함께 실어 선보인다. 우수작품상 수상작으로는 기준영 작가의 [조이], 김금희 작가의 [오직 한 사람의 차지], 박민정 작가의 [당신의 나라에서], 손홍규 작가의 [눈동자 노동자], 조경란 작가의 [언젠가 떠내려가는 집에서], 표명희 작가의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이 실려 있다. 대상 수상작 말미에는 《매일경제신문》 문화부 김슬기 기자가 강영숙 작가와 진행한 인터뷰 및 대상 수상작가의 자선작 〈라플린〉 등이 포함되어 있어 다채로움을 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