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명심보감 : 시공을 초월한 인간관계론의 성전
명심보감 : 시공을 초월한 인간관계론의 성전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0000157208
- ISBN
- 9788967350055 03100 : \12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chi
- KDC
- 150-4
- 청구기호
- 177 범239ㅁ
- 저자명
- 범입본
- 서명/저자
- 명심보감 : 시공을 초월한 인간관계론의 성전 / 범립본 ; 추적 ; 김원중
- 발행사항
- 파주 : 글항아리, 2012
- 형태사항
- 215 p. ; cm
- 주기사항
- 교수 신청도서
- 주기사항
- 백형찬 교수 신청도서, 2017
- 주기사항
- 색인 : p. 214-215
- 주기사항
- 원저자명: 范立本
- 초록/해제
- 초록: 『명실보감』에는 공자와 맹자 등 유가 인물들의 어록이 상당히 많지만 장자莊子나, 열자列子, 현제玄帝, 동악성제東嶽聖帝 등 도교 관련 인물도 적지 않으며, 소열제昭烈帝, 유비劉備, 당唐 태종太宗이나 송宋 휘종徽宗 드으이 제왕들, 태공太公이나 마원馬援, 사마온공司馬溫公(사마광), 소강절邵康節(소옹)과 같은 인물들, 도연명과 소동파와 같은 문인들 주돈이, 주희 등 성리학자의 금언과 격언들이 두루 실려 있다.
- 기타저자
- 范立本
- 기타저자
- 추적
- 기타저자
- 김원중
- 기타저자
- 범립본
- 가격
- \10800
- Control Number
- sacl:108716
- 책소개
-
마음을 밝히는 주옥같은 문장을 ≪명심보감≫으로 만나다!
시공을 초월한 인간관계론의 성전『명심보감』. 고전번역가 김원중 교수가 ≪명심보감≫ 전편을 모두 번역한 책이다. 각 편에 간단한 해제와 소제목을 덧붙이고, 문장의 말미에 간략한 해설과 관련 인물이나 책들에 관한 보충설명을 각주로 덧붙여 이해를 도왔다. ≪명심보감≫은 ‘마음을 밝히는 보배로운 거울’이란 뜻으로 중국의 경전과 사서, 제자백가, 문집 등에서 200여 문장을 가려 뽑은 책이다. 동양적 수양과 명상, 의미 있는 삶의 실천을 위한 금언들을 만나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최대한 원래의 뜻을 살리면서도 현대어로 이해하기 쉽게 옮겨 놓았다.
MARC
008170727s2012 ggk 001 kor■001000000157208
■00520170727043827
■020 ▼a9788967350055▼g03100▼c\12000
■035 ▼a(KERIS)REW000000157208
■0411 ▼akor▼hchi
■056 ▼a150▼24
■090 ▼a177▼b범239ㅁ
■1001 ▼a범입본
■24500▼a명심보감 ▼b시공을 초월한 인간관계론의 성전▼d범립본 ▼e추적 ▼e김원중
■260 ▼a파주▼b글항아리▼c2012
■300 ▼a215 p.▼ccm
■500 ▼a교수 신청도서
■500 ▼a백형찬 교수 신청도서, 2017
■50000▼a색인 : p. 214-215
■50000▼a원저자명: 范立本
■520 ▼b『명실보감』에는 공자와 맹자 등 유가 인물들의 어록이 상당히 많지만 장자莊子나, 열자列子, 현제玄帝, 동악성제東嶽聖帝 등 도교 관련 인물도 적지 않으며, 소열제昭烈帝, 유비劉備, 당唐 태종太宗이나 송宋 휘종徽宗 드으이 제왕들, 태공太公이나 마원馬援, 사마온공司馬溫公(사마광), 소강절邵康節(소옹)과 같은 인물들, 도연명과 소동파와 같은 문인들 주돈이, 주희 등 성리학자의 금언과 격언들이 두루 실려 있다.
■653 ▼a명심보감▼a시공▼a인간관계▼a성전
■7001 ▼a范立本
■7001 ▼a추적
■7001 ▼a김원중
■9001 ▼a범립본
■9500 ▼b\1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