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장소 특정적 미술
내용보기
장소 특정적 미술
자료유형  
 단행본
 
160930025046
ISBN  
9788965640806 03600 : \22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DDC  
709.0407-21
청구기호  
709.04 권39ㅈ
저자명  
권미원 지음
서명/저자  
장소 특정적 미술 / 권미원 지음 ; 김인규 ; 우정아 ; 이영욱 [공]옮김
원표제  
[원표제]One place after another : site-specific art and locational identity
발행사항  
서울 : 현실문화연구, 2013
형태사항  
287 p : 삽도 ; 22 cm
주기사항  
2024-1학기 강의지원자료
주기사항  
2016 2학기 지정자료
서지주기  
색인 수록
초록/해제  
초록: 후기자본주의사회에서 미술의 위상『장소 특정적 미술』. 이 책은 장소 특정성이란 용어를 미술 장르로서가 아닌 미술과 공간 정치학의 특유한 암호, 곧 문제적 아이디어로서 비판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즉, 비판적 도시이론, 미술과 건축에서의 공간과 정치 문제, 정체성 정치와 공공영역에 관한 논의 등 도시 생활과 도시공간을 조직하는 폭넓은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과정들에 대한 문화적 매개로 재구성하고 있다. 총 6장으로 구성되어 1장에선 1960년대 후반 이후 특정성의 계보를 제시하고 2장에선 고정된 장소로부터 유목적인 모델로서의 장소 변환이 오늘날 미술제도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3장은 미술작품의 공공성 관련성과 그것의 사회정치적 야망이 미술-장소 관계 측면에서 어떻게 평가되었는지 살펴보며 4장은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에서 장소 특정성으로의 내포된 의미를 찾아보고 5장에선 공동체기반 미술에 대한 비판을 강조하며 6장에서 장소 특정성에서 장소가 소멸되는것을 탈영토화의 역학과 연관지어 결론을 내리고 있다.
언어주기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키워드  
장소 특정적 미술
키워드  
2016 2학기 지정자료 공연창작학부
기타저자  
김인규 옮김
기타저자  
우정아 옮김
기타저자  
이영욱 옮김
가격  
\19800
Control Number  
sacl:104621
책소개  
장소 특정적 미술이 60년대 후반에 등장한 이래로 ‘장소’의 개념은 미학적 전위주의와 정치적 진보주의의 수사를 수반하면서 단계적인 변화를 겪어왔다. 저자는 이 책의 첫째 장에서 장소 특정성의 계보를 추적하고 있다. 장소 특정적 미술은 처음에는 장소에 대한 현상학적이고 경험적인 이해에 기초를 두고 있었다. 크기, 규모, 질감, 벽·천장·방의 치수 사이의 관계, 채광 상태, 지형적 특징, 교통 상황, 기후의 계절적 성격 등 개별 입지가 지닌 물리적 속성의 집합으로 규정되면서 은연 중 미술관이라는 초역사적인 공간에 의탁하는 모더니즘 미술에 근본적인 차원의 이의를 제기했다.

장소 특정성이라는 개념의 출현, 예술가와 작품, 관객을 둘러싼 이러한 변화가 생긴 데는 기존의 모더니즘 미술 안팎을 둘러싼 제도적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006166 709.04 권39ㅈ 일반서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