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공공미술, 마을이 미술이다 : 한국의 공공미술과 미술마을
공공미술, 마을이 미술이다 : 한국의 공공미술과 미술마을
- 자료유형
- 단행본
- 0013512267
- ISBN
- 9788994750156 03600
- DDC
- 711.409519-23
- 기타분류
- 711.40953-DDCK
- 청구기호
- 711.4 마68ㄱ
- 단체저자
-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 서명/저자
- 공공미술, 마을이 미술이다 : 한국의 공공미술과 미술마을 /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엮음
- 발행사항
- 파주 : 소동, 2014
- 형태사항
- 283 p. : 천연색삽화 ; 23 cm
- 주기사항
- 저자: 임성훈, 김해곤, 서성록, 고충환, 김진엽, 이선영, 김병수, 김미진, 이태호
- 주기사항
- 2016 1학기 지정자료
- 기금정보
- 이 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음
- 기타저자
- 임성훈 저
- 기타저자
- 김해곤 저
- 기타저자
- 서성록 저
- 기타저자
- 고충환 저
- 기타저자
- 김진엽 저
- 기타저자
- 이선영 저
- 기타저자
- 김병수 저
- 기타저자
- 김미진 저
- 기타저자
- 이태호 저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원문정보보기
- 가격
- \17100
- Control Number
- sacl:103045
- 책소개
-
마을을 변화시킨 미술의 힘! 공공미술
『공공미술, 마을이 미술이다』은 공공미술로서의 마을미술프로젝트 5년을 되돌아보며, 한국의 마을미술은 어떻게 진행되어왔는지를 살펴본다. 공공미술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한 마을미술프로젝트가 어떻게 마을을 바꾸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지자체와 지역주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성공 사례는 무엇이고 실패사례와 보완할 점은 무엇인지 공공미술로서의 마을 미술을 세세하게 다루고 있다.
총 9개의 챕터로 구성된 이 책은 필진에 한구미술평론가협회 회장을 역임한 서성록 안동대 교수를 비롯하여 임성훈, 고충환 등 왕성히 활동중인 미술평론가 교수 8명과 김해곤 마을미술총괄감독이 참여했다. 공공미술과 마을미술의 관계를 다루어 공공미술 개념의 이해를 도우며 마을미술을 중심으로 세부적인 주제를 짚어본다. 또한 대규모 마을미술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한국 공공미술이 지향해야 할 점을 외국 사례와 함께 살펴본다.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n'existe pas
- My Folder
- Demande Première utili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