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증보)한국음악통사
Содержание
(증보)한국음악통사
자료유형  
 단행본
 
160425125104
ISBN  
9788956384344 93670 : \55000
DDC  
780.9519-21
청구기호  
78A.09 송416ㅎ
저자명  
송방송 지음
서명/저자  
(증보)한국음악통사 / 宋芳松 지음
판사항  
증보[판]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10
형태사항  
982 p : 삽화(주로천연색), 악보, 초상 ; 24 cm
주기사항  
한국전통예술
주기사항  
Korean traditional art
주기사항  
2020 1학기 지정자료
서지주기  
참고문헌: p. 881-926, 색인수록
초록/해제  
초록: 한국음악사의 시대별 특징을 정리한 책. 한국음악사의 큰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번 증보판에서는 북한음악사를 현대편에 포함시킴으로써 한겨레음악사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6장에서는 일제강점기에서 친일음악가의 활동상황을 음악학계에 밝혀진 대로 서술하고 있다.
키워드  
한국 음악 통사
키워드  
2020 1학기 지정자료 음악학부
가격  
\49500
Control Number  
sacl:102831
책소개  
초판본과 비교하여 증보판에서 수정 보완된 부분은 제1편의 1장과 제2편의 5장 및 제3편의 6장과 7장이다. 1장의 보완된 부분은 이진원 박사가 제공한 중국음악 관련의 학술정보에 의존하였고, 또한 그의 도움으로 6장에 여러 음반자료와 참고자료틀 포함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7장의 북한음악사 서술 때에는 황준연 공저의 『북한의 전통음악』과 노동은 교수의 북한음악과 관련된 글을 많이 참고하였다. 증보판 통사 7장의 현대편 서술 때 특히 이강숙ㆍ김춘미ㆍ송혜진ㆍ김종수ㆍ이현주 등의 박사학위논문 및 후학들의 수많은 석사학위논문과 연구논문도 큰 도움을 주었다. 이렇듯 기존 연구성과에 의존하다 보니, 근현대편의 서술이 사실 나열의 한계를 벗어나기 어려웠다.
초판본에 발해음악사를 포함시켰듯이, 증보판에서는 북한음악사를 현대편에 포함시킴으로써 한겨레음악사가 되도록 노력하였으나, 우리나라 현대용악사의 학문적 연구는 앞으로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6장에서 일제강점기에서 친일 음악가의 활동상황을 음악학계에 밝혀진대로 서술하였다. 이렇게 수정하고 보완한 증보판 『한국음악통사』가 한국 음악사의 큰 흐름을 파악 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не существует
  • моя папка
  • Первый запрос зрения
материал
Reg No. Количество платежных Местоположение статус Ленд информации
00005270 78A.09 송416ㅎ 일반서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Бронирование доступны в заимствований книги. Чтобы сделать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й заказ, пожалуйста, нажмите кнопку бронирование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