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극지의 시 : 이성복 시론 . 2014-2015
극지의 시 : 이성복 시론 . 2014-2015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151111125735
- ISBN
- 9788932027708 03810 : \11000
- DDC
- 811.1709-21
- 청구기호
- 8A1.6 이536ㅇ 3
- 저자명
- 이성복 지음
- 서명/저자
- 극지의 시 : 이성복 시론 . 2014-2015 / 이성복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5
- 형태사항
- 145 p ; 20 cm
- 주기사항
- 이 책은 2014년 후반기와 2015년 초반의 강의, 대담, 수상 소감 드을 신간 순서대로 엮은 것임
- 초록/해제
- 초록: 시인들이 사랑하는 첫번째 이름, 이성복. 생의 날것 앞에 선 인간을 향한 응시, 깊고 오랜 공부에서 비롯한 사유와 감각의 깊이로 거듭나는 힘 있는 언어로 40년 가까이 우리를 매혹해온 이성복 시의 모든 것, 그 내밀히 자리한 말과 언어를 한데 모은 시론집. 시인 이성복이 오래전부터 시에 대한 사유는 물론이요, 동서양 철학과 수학, 천체물리학 등 여러 학문을 넘나드는 깊은 독서와 공부의 흔적을 자신의 문학적 거울로 삼아온 내력이 2013년 벽두 10년 만에 출간된 시집 래여애반다라 이후 치러진 인터뷰와 대담 등을 통해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의 시를 찾고 문학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그 공부의 궤적을 좇아 들여다보고 싶은 열망을 함께 키워온 셈이다. 그의 시집 출간은 결코 잦은 편이랄 수 없었고, 그의 행보 역시 거처한 대구에서 학생들과 공부하고 자신의 글에만 집중하는 두문불출에 가까웠기에 그 열망의 크기는 줄지 않고 궁금증만 더해갔을 뿐이다. 이번에 나온 시론집 3권은 바로 이런 독자들의 궁금증과 갈망에 화답하는 책이다. 극지의 시는 2014년 후반기와 2015년 초반의 강의, 대담, 수상 소감 등을 시간 순서대로 엮은 '산문집'으로, 책의 제목은 2014년 제11회 이육사 시문학상 수상소감(수상작 '래여애반다라')에서 가져왔다.
- 기타서명
- 이성복 시론
- 가격
- \9900
- Control Number
- sacl:101493
- 책소개
-
시인들이 사랑하는 첫번째 이름, 이성복. 생의 날것 앞에 선 인간을 향한 응시, 깊고 오랜 공부에서 비롯한 사유와 감각의 깊이로 거듭나는 힘 있는 언어로 40년 가까이 우리를 매혹해온 이성복 시의 모든 것, 그 내밀히 자리한 말과 언어를 한데 모은 시론집.
시인 이성복이 오래전부터 시에 대한 사유는 물론이요, 동서양 철학과 수학, 천체물리학 등 여러 학문을 넘나드는 깊은 독서와 공부의 흔적을 자신의 문학적 거울로 삼아온 내력이 2013년 벽두 10년 만에 출간된 시집 <래여애반다라> 이후 치러진 인터뷰와 대담 등을 통해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의 시를 찾고 문학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그 공부의 궤적을 좇아 들여다보고 싶은 열망을 함께 키워온 셈이다. 그의 시집 출간은 결코 잦은 편이랄 수 없었고, 그의 행보 역시 거처한 대구에서 학생들과 공부하고 자신의 글에만 집중하는 두문불출에 가까웠기에 그 열망의 크기는 줄지 않고 궁금증만 더해갔을 뿐이다.
이번에 나온 시론집 3권은 바로 이런 독자들의 궁금증과 갈망에 화답하는 책이다. <극지의 시>는 2014년 후반기와 2015년 초반의 강의, 대담, 수상 소감 등을 시간 순서대로 엮은 산문집으로, 책의 제목은 2014년 제11회 이육사 시문학상 수상소감(수상작 래여애반다라)에서 가져왔다.
MARC
008151111s2015 ulk 000a kor■00120151111125735
■00520151111125806
■020 ▼a9788932027708▼g03810▼c\11000
■040 ▼d211037
■082 ▼a811.1709▼221
■090 ▼a8A1.6▼b이536ㅇ▼c3
■1001 ▼a이성복 ▼e지음
■24510▼a극지의 시 ▼b이성복 시론 ▼n2014-2015▼d이성복 지음
■260 ▼a서울▼b문학과지성사▼c2015
■300 ▼a145 p▼c20 cm
■50000▼a이 책은 2014년 후반기와 2015년 초반의 강의, 대담, 수상 소감 드을 신간 순서대로 엮은 것임
■520 ▼b시인들이 사랑하는 첫번째 이름, 이성복. 생의 날것 앞에 선 인간을 향한 응시, 깊고 오랜 공부에서 비롯한 사유와 감각의 깊이로 거듭나는 힘 있는 언어로 40년 가까이 우리를 매혹해온 이성복 시의 모든 것, 그 내밀히 자리한 말과 언어를 한데 모은 시론집. 시인 이성복이 오래전부터 시에 대한 사유는 물론이요, 동서양 철학과 수학, 천체물리학 등 여러 학문을 넘나드는 깊은 독서와 공부의 흔적을 자신의 문학적 거울로 삼아온 내력이 2013년 벽두 10년 만에 출간된 시집 래여애반다라 이후 치러진 인터뷰와 대담 등을 통해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의 시를 찾고 문학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그 공부의 궤적을 좇아 들여다보고 싶은 열망을 함께 키워온 셈이다. 그의 시집 출간은 결코 잦은 편이랄 수 없었고, 그의 행보 역시 거처한 대구에서 학생들과 공부하고 자신의 글에만 집중하는 두문불출에 가까웠기에 그 열망의 크기는 줄지 않고 궁금증만 더해갔을 뿐이다. 이번에 나온 시론집 3권은 바로 이런 독자들의 궁금증과 갈망에 화답하는 책이다. 극지의 시는 2014년 후반기와 2015년 초반의 강의, 대담, 수상 소감 등을 시간 순서대로 엮은 '산문집'으로, 책의 제목은 2014년 제11회 이육사 시문학상 수상소감(수상작 '래여애반다라')에서 가져왔다.
■653 ▼a극지▼a시▼a한국문학▼a한국시
■740 0▼a이성복 시론
■9500 ▼b\9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