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에로스의 종말
에로스의 종말
- 자료유형
- 단행본
- 151012133536
- ISBN
- 9788932027838 03100 : \10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ger
- DDC
- 193-21
- 청구기호
- 128 한44ㅇ
- 저자명
- 한병철 지음
- 서명/저자
- 에로스의 종말 / 한병철 지음 ; 김태환 옮김
- 발행사항
-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5
- 형태사항
- 110 p ; 20 cm
- 주기사항
- 교수 신청도서
- 주기사항
- 허순자 교수 신청도서, 2015
- 주기사항
- 2017 2학기 지정자료
- 원저자/원서명
- Agonie des Eros
- 초록/해제
- 초록: 한국에 소개되는 재독 철학자 한병철의 여섯번째 책. 오늘날의 세계에서 진정한 사랑이 왜 위기에 처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흥미로운 분석을 펼쳐나간다. 저자는 에로스가 "완전히 다른 삶의 형식, 완전히 다른 사회를 향한 혁명적 욕망"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이야기하며, 우리에게 오늘날 가장 절실하게 필요한 투쟁 가운데 하나인 사랑의 재발명을 위한 투쟁에 참여할 것을 제안한다. 저자는 오늘날의 사회에서는 에로스적 경험도 있을 수 없다고 말한다. 절대적 타자성의 경험으로서의 사랑, 완전한 타자의 파국적 침입에 의해 주체의 정상적인 균형 상태를 깨뜨리는 재난으로서의 사랑에 대해 이야기한다. 한편으로, 안락함과 나르시시즘적 만족 외에는 관심이 없는 오늘의 세계에서 에로스의 가능성을 짓누르고 있는 실제적인 힘들을 집중적으로 파헤친다. 진정한 의미의 사랑은 현대 세계, 세속화된 자본주의 세계의 이 모든 규범에 반항한다. 저자는 여기서 에로스의 정치적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다른 삶의 형식, 다른 세계, 더 정의로운 세계에 대한 공동의 욕망에서 나오는 정치적 행위는 어떤 심층적인 차원에서는 에로스와 상관관계를 이룬다. 에로스는 정치적 저항의 에너지원이다. 에로스는 그 보편적인 힘으로 예술적인 것과 실존적인 것, 정치적인 것을 한데 묶는다.
- 언어주기
- 독일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키워드
- 2017 2학기 지정자료 문예학부
- 기타저자
- 김태환 옮김
- 가격
- \9000
- Control Number
- sacl:101097
- 책소개
-
“이 한 권의 짧은 책이 우리의 사랑을 바꿀지도 모른다”
전작 《피로사회》에서 ‘나는 할 수 있다’라는 성과사회의 명령 아래 소진되어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관찰하고, 《심리정치》에서 자유와 욕망까지 착취하는 신자유주의 시스템의 은밀한 통치술을 파헤친 바 있는 재독 철학자 한병철의 신작 『에로스의 종말』이 출간되었다. 이는 지난 2013년 독일에서 출간된 〈Agonie des Eros〉를 번역한 것으로, 오늘날의 세계에서 진정한 사랑이 위기에 처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 흥미로운 분석을 보여준다.
저자에 따르면 에로스란 ‘강한 의미의 타자, 다시 말해 나의 지배 영역에 포섭되지 않는 타자를 향한 것’을 의미한다. 사랑을 위해서는 타자의 발견을 위해 자아를 파괴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한데, 전적으로 안락함과 나르시시즘적 만족 외에는 관심이 없는 오늘의 세계에서는 에로스적 경험이 있을 수 없다. 이에 저자는 에로스의 싹을 짓누르는 온갖 함정과 위협들을 집중적으로 살피며 숭고한 타자성에는 찬가를, “우울한 나르시시트에”는 가차 없는 비판을 가한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не существует
- моя папка
- Первый запрос зре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