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우리 동네 아이들 . 2
우리 동네 아이들 . 2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150907132036
- ISBN
- 9788937463303 04800 : \13000
- ISBN
- 9788937460005 (세트)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ara
- DDC
- 808.83-21
- 청구기호
- 808.83 세14ㅅ 330
- 저자명
- 마흐푸즈, 나지브 지음
- 서명/저자
- 우리 동네 아이들 . 2 / 나지브 마흐푸즈 지음 ; 배혜경 옮김
- 발행사항
- 서울 : 민음사, 2015
- 형태사항
- 384 p ; 23 cm
- 총서명
- 세계문학전집 ; 330
- 주기사항
- 영어번역표제:Children of Gebelawi
- 주기사항
- 영어번역저자명: Philip Stewart
- 원저자/원서명
- Awla?d al-h?a?ratina?
- 원저자/원서명
- Mahfuz, Najib /
- 초록/해제
- 초록: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29, 330권. 이집트 출신의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나지브 마흐푸즈의 장편소설. 노벨상 제정 87년 만에 이룬 아랍 문학의 쾌거로 기록된 마흐푸즈의 노벨 문학상 수상 소식은 당시 세간에 화제가 되었다. 같은 해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과격 단체인 '알카에다'가 수립됐고, 살만 루슈디가 소설 악마의 시에서 예언자 무함마드를 불경스럽게 묘사했다는 이유로 신성 모독 논란에 휘말려 이란의 지도자 호메이니로부터 사살 대상에 올랐던 것을 고려하면, 1988년 나지브 마흐푸즈의 노벨 문학상 수상은 문학적, 정치적으로 커다란 의미를 가진 결정이었다. 우리 동네 아이들은 나지브 마흐푸즈가 이집트 정치 상황에 실망해 절필을 선언한 이후 7년간 침묵하다가 다시 펜을 들어 집필한 첫 장편 소설이다. 이 작품에서 마흐푸즈는 정치-종교적 차이로 인한 갈등과 대립으로 불안정했던 당시의 이집트 사회를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라는 대표적 종교의 일화를 엮어 선과 악이 대립하는 한 마을의 다사다난한 역사로 재탄생시켰다. 특히 독특하고 통찰력 있는 시선으로 아담과 모세, 예수, 무함마드를 상징하는 인물들의 혁명적 일화를 이슬람 문화적 배경 속에 녹여 낸 이 작품에는 오랜 세월 인류가 찾아 헤맨 평화에 대한 염원이 담겨 있다.
- 언어주기
- 아랍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수상주기
- 노벨문학상, 1988
- 기타저자
- 배혜경 옮김
- 기타저자
- 나지브 마흐푸즈 지음
- 가격
- \11700
- Control Number
- sacl:101026
- 책소개
-
선악의 편에서 우리는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제330권 『우리 동네 아이들』 제2권. 아랍 문학을 세계 문학의 반열에 올려놓은 이집트 출신의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인 나지브 마흐푸즈의 대작이다. 저자가 이집트 정치 상황에 실망해 절필을 선언한 이후 7년간 침묵하다가 다시 펜을 들어 집필한 첫 장편 소설로,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라는 대표적 종교의 일화를 엮어 오랜 세월 인류가 찾아 헤맨 평화에 대한 염원을 담아냈다. 종교에 대한 솔직한 풍자로 이슬람 사회에서 신성 모독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카이로의 한 마을을 배경으로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경전인 성서와 코란에서 전해 내려오는 선지자 등 인물들의 여러 세대에 걸친 이야기를 장을 나누어 전개해나간다. 종교적 의미 안에서 해석해야 하는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통해 저자는 인류의 삶 도처에 산재한 폭력과 억압적 지배에 각 선지자가 어떻게 사람들을 해방시켰는지 꾸준히 묘사한다. 선악이 공존할 수밖에 없는 세상 가운데 선한 의지를 가진 특별한 존재에 대한 갈망과 상상이 인류의 역사 전체에 걸쳐 존재했음을 여실히 드러내 보인다.
MARC
008150331s2015 ulk 000a kor■00120150907132036
■00520150907135216
■020 ▼a9788937463303▼g04800▼c\13000
■0201 ▼a9788937460005 (세트)
■040 ▼d211037
■0411 ▼akor▼hara
■082 ▼a808.83▼221
■090 ▼a808.83▼b세14ㅅ▼c330
■1001 ▼a마흐푸즈, 나지브 ▼e지음
■24510▼a우리 동네 아이들 ▼n2▼d나지브 마흐푸즈 지음 ▼e배혜경 옮김
■260 ▼a서울▼b민음사▼c2015
■300 ▼a384 p▼c23 cm
■44000▼a세계문학전집▼v330
■50000▼a영어번역표제:Children of Gebelawi
■50000▼a영어번역저자명: Philip Stewart
■50710▼tAwla?d al-h?a?ratina?
■50710▼aMahfuz, Najib
■520 ▼b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29, 330권. 이집트 출신의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나지브 마흐푸즈의 장편소설. 노벨상 제정 87년 만에 이룬 아랍 문학의 쾌거로 기록된 마흐푸즈의 노벨 문학상 수상 소식은 당시 세간에 화제가 되었다. 같은 해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과격 단체인 '알카에다'가 수립됐고, 살만 루슈디가 소설 악마의 시에서 예언자 무함마드를 불경스럽게 묘사했다는 이유로 신성 모독 논란에 휘말려 이란의 지도자 호메이니로부터 사살 대상에 올랐던 것을 고려하면, 1988년 나지브 마흐푸즈의 노벨 문학상 수상은 문학적, 정치적으로 커다란 의미를 가진 결정이었다. 우리 동네 아이들은 나지브 마흐푸즈가 이집트 정치 상황에 실망해 절필을 선언한 이후 7년간 침묵하다가 다시 펜을 들어 집필한 첫 장편 소설이다. 이 작품에서 마흐푸즈는 정치-종교적 차이로 인한 갈등과 대립으로 불안정했던 당시의 이집트 사회를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라는 대표적 종교의 일화를 엮어 선과 악이 대립하는 한 마을의 다사다난한 역사로 재탄생시켰다. 특히 독특하고 통찰력 있는 시선으로 아담과 모세, 예수, 무함마드를 상징하는 인물들의 혁명적 일화를 이슬람 문화적 배경 속에 녹여 낸 이 작품에는 오랜 세월 인류가 찾아 헤맨 평화에 대한 염원이 담겨 있다.
■546 ▼a아랍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586 ▼a노벨문학상, 1988
■653 ▼a우리▼a동네▼a아이들▼a노벨문학상
■7001 ▼a배혜경 ▼e옮김
■900 ▼a나지브 마흐푸즈▼e지음
■9500 ▼b\117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detalle info
- Reserva
- No existe
- Mi carpeta
- Primera solicit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