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등록일 2020.11.12 / 작성자 조*욱 / 조회수 118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디지털아트전공 교수: 조상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몇해 전부터 필자는
라캉의 정신분석 중 '대상 a로서의 응시'를
중심으로 "대상성이 없는 대상성" 을 제목으로 작품화하고 있다.

대상성이 없는 대상성.
문자는 무의식이다.
무의식은 타자의 담론이다.
무의식은 억압된 표상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나는 나 자신을 보는 나를 본다.
문자는 무의식이다.
중첩에 중첩을 통한 공백화.
무의식 속에는 시간이 없고 대립이 없다.
바라봄은 보여짐에 의해 분열된다.
기하도형이 꿈에 나타나고 압축과 전치가 꿈의 언어인데...

정신분석은 인간이 스스로에 대해 갖는 다양한 오인과 환상을 분석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길을 찾는 방편 중 하나다. 특히 이 부분에서 나는
이른바 보편적 문법을 벗고 타자의 언어를 통제해 진정한 자신의 목소리로 새로운 문법을 창조하는 라캉적 정신분석 과정에 관심이 크다.

 내가 추구하는  시각예술 작업 방식과 유사한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을 만나고 난  이후에, 이어서 반갑게도 뇌신경학자 올리버 색스의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를 조우하게 되었다.지난8월부터 서울시립미술관 세마창고 전시장을 답사하고 돌아와 비둘기 이미지의 변천사를 떠올리며 휴대전화 어플리케이션 오디오 북"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를 AI의 음성으로 들으면서 잠이 들곤 하였다.

 2020년 낚시줄에 꼬인 기형 발가락의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가 우리동네 근린공원 앞에 노닌다. 그리고 건강한 평화의 상징인 비둘기와 어린 내가 초등학교 시절 운동장에서 뛰어 논다. 오디오북 AI가 낭송하는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에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코르사코프증후군 혹은 환각통처럼 잘린 다리의 남자가 나타난다.

꿈이었다.
인식불능증으로 손을 쓰지 못하는 비둘기가 절뚝거리며 걷는다.
이어서 자폐증을 가진 예술가가 비둘기 그림을 그리고 있다..

3개의 시점과 3개의 장소가 중첩되어 이어진 꿈이었다.
중첩에 중첩을 통한 공백화가 이루어 진다.
순행성 기억상실증에 있는  길잃은 비둘기다.
한지위에 오브제로 나타난 깃털은 인지장애로 잃은 그의 혼이다.

싱글채널 비디오에 등장하는 차용한 필름장면은 전생의 비둘기가 꾸는 꿈이다.
 페르소나의 환각이다.
여기에서의 음성은 책읽어 주는 인공지능 여성 목소리다.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는 프로이트,칼 융,라캉 을 이어주고
 이렇게 내 작업에 영감을 주어 '자폐증 비둘기'라는  영상설치작품을 탄생하게 했다.

1부 상실, 2부 과잉, 3부 회상, 4부 단순함의 세계 등 24편의 매우 희귀한 내용들이다.
이 책은 저자 올리버 색스와 환자들의 얘기를 담은 사례집이다. 환자를 연구대상으로만 취급하던 것에서 벗어나 그들의 고통과 알 수 없는 현상을 포근하게 어루만지는 따뜻한 손길의 책이다..

저자 | 올리버 색스의 주요 저서

· Sacks, O. (1991). 소생[Awakenings]. (최승자 역), 서울: 대흥. (원저는 1990년에 출판).
· Sacks, O. (2000). Seeing Voices: A Journey into the World of the Deaf. New York: Vintage Books.
· Sacks, O. (2004). 엉클 텅스텐: 꼬마 올리버의 과학 성장기[Uncle Tungsten: Memories of a Chemical Boyhood]. (이은선 역). 서울: 바다출판사. (원저는 2001년에 출판).
· Sacks, O. (2005). 화성의 인류학자[An Anthropologist on Mars]. (이은선 역). 서울: 바다출판사. (원저는 1996년에 출판).
· Sacks, O. (2006).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and Other Clinical Tales] (조석현 역). 서울: 이마고. (원저는 1985년에 출판).

 



첨부파일 :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